학술대학원
학술학위과정 (M.S. / Ph.D.)
치의과학과 소개
치의학과가 치과의사 양성 기능을 중점으로 한다고 보면, 치의과학과는 학술 기능을 중점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학과는 기초치의학 전공 교수들의 다양한 전공을 바탕으로 치의학분야의 생명과학,  재료과학 및 인문사회과학에 관련된 기초치의학 연구와 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 전공 교수들의 임상 각 전공 분야의 임상치의학 연구를 융합한 다학제간 공동연구를 한다.
치과의사 출신의 학생 중 치의학 관련 기초연구에 관심이 있거나, 치과의사가 아닌 다른 배경의 학생들 중 치의학 관련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본 학과 석사과정 또는 박사과정을 이수한 학생은 국가성장동력으로서의 바이오산업의 육성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및 다학제간의 공동 연구 및 다학제간 연구 역량을 갖추게 된다.
교육목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는 치의과학 및 인접 자연과학과 공학에 관한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치의과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적 수준의 고급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와 인류에 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다양하고 폭넓은 학문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치의과학 연구를 함으로써 각자의 학문적 배경이 치의과학에 접목되는 학제적 연구를 통해 치의과학의 발전을 도모합니다.
  •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연구와 교육 및 진료가 서로 효율적으로 조화된 의료 환경을 갖춤으로써, 각 영역의 국제적 경쟁력을 도모합니다. 또한 세계적 명문대학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각 분야 첨단 주제의 공동연구를 적극 지원합니다.
  • 이러한 교육이념을 실현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이며 책임임을 인식하고 치의과학을 발전시킨다는 사명감 있는 연구와 교육을 수행함으로써 인류의 복지향상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석사과정
지도교수 선정 입학후 1년 이내에 학과에서 선정하여 대학원장에게 보고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입학과 동시에 희망하는 교수님과의 면담을 통해 결정됩니다.
논문 심사위원 선정
(학위논문 심사위원 현황)
입학후 셋째 학기말까지 지도교수가 선정하여 학과주임교수의 승인을 거쳐 대학원장에게 보고합니다.
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인으로 구성됩니다.
과정이수 석사과정의 수학년한은 2년이상입니다. 또한 2개학기 이상 상주재학하면서 최소 24학점을 수료 하여야 합니다.
(※ 논문연구는 선택임, 6학점까지 인정)
수료학점의 평점평균은 3.0 이상이어야 합니다.
논문제출자격시험 대학원 연구와 함께 과정을 모두 이수하고 학위논문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학위논문제출자격시험을 먼저 통과하여야 합니다.
- 본교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2개학기 이상 등록하고 9학점 이상 취득한 학생.
- 영어성적 기준 : TEPS 551점 (신TEPS298점) 이상, TOEFL(IBT) 79점 이상, TOEFL(CBT) 213점 이상
    2011이전 학번의 경우 2015.3.31.자로 영어합격인정기준 개정(TEPS 551점 이상, TOBLE(IBT)77점 이상.
    단, 2013.3.31. 이후 취득한 성적부터 인정)
- 전공시험은 100점만점에 60점 이상 합격
- 외국인학생의 경우 한국어 혹은 제2외국어(모국어제외)를 통과하여야 합니다.
  또한 한국어와한국문화1,2 과목 중 한과목을 수강하여 “C-” 이상 또는 “S”의 성적을 취득하면 됩니다.
* 응시원서 제출 전까지 환경안전교육을 이수하여야 하며, 미이수자는 응시할 수 없습니다.
심사용 논문 제출 1학기 : 5월말, 2학기는 11월말까지 심사용 논문 3부를 제출합니다.
학위논문 심사 전공시험/논문 구술시험으로 이루어진 논문발표 및 심사에 통과하면 됩니다.
논문심사 결과보고서 제출 심사위원장이 작성 1학기 6월말, 2학기 12월말까지 제출합니다.
졸업 및 학위수여식 전기졸업식(매년 2.26일), 후기졸업식 (매년 8월말)
박사과정
지도교수 선정 입학후 1년 이내에 학과에서 선정하여 대학원장에게 보고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입학과 동시에 희망하는 교수님과의 면담을 통해 결정됩니다.
논문 심사위원 선정
(학위논문 심사위원 현황)
입학후 셋째 학기말까지 지도교수가 선정하여 학과주임교수의 승인을 거쳐 대학원장에게 보고합니다.
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5명으로 구성되며, 타교 교원 1명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지도교수가 심사위원 명단을 제출하면, 대학원 위원회에서 승인하게 됩니다.
과정이수 박사과정의 수학년한은 2년이상입니다. 또한 4개학기 이상 상주재학하면서 최소 36학점을 이수하여야합니다.
석박사통합과정은 최소 60학점을 이수하여야합니다.
※ 논문연구는 선택임 : 박사 : 6학점, 통합과정 : 12학점까지 인정
수료학점의 전체평점평균은 3.0 이상이어야 합니다.
논문제출자격시험 Thesis proposal 발표는 박사과정 4학기 이내에 논문심사위원회의 60%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구두발표로 심사하고,
written proposal은 지도교수의 선택사항으로 합니다. 초록이나 written proposal, 평가서 사본을 과사무실에 제출(양식) 합니다.
- 적용대상 : (2002학번부터 적용, 2001학번이전은 6학기 이내)
- 특정한 기간을 정하여 한꺼번에 실시함.
- Thesis proposal을 연구의 기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함.
국제학술지 게재
(대학원공인)
본 대학원에서는 공인된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 또는 게재예정증명서를 제출하여야 박사학위 심사가 가능합니다.
국제학술지 게재 증빙서류를 제출하여 자격을 검증받습니다.
논문심사요청서 제출 및
심사용 논문 제출
1학기 : 5월말, 2학기는 11월말까지 심사용 논문 5부를 제출합니다.
학위논문 심사 전공구술시험, 논문 구술시험, 논문발표 및 심사에 통과하면 됩니다.
논문심사결과보고서 제출 심사위원장이 작성 1학기 6월말, 2학기 12월말까지 제출합니다.
졸업 및 학위수여식 전기졸업식(매년 2.26일), 후기졸업식 (매년 8월말)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