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소개
치과보존학 교실 Conserative Dentistry
교실소개
치과보존학교실은 치아우식, 외상 및 교모, 마모 등에 의해 손상된 치아 경조직 또는 치아 발생 시 초래된 치아의 형태 이상이나 치아의 변색 등에 기인하는 심미적 부조화에 대한 진단, 치료, 예후 평가 및 예방을 통해 치아 본래의 기능인 저작, 발음, 심미 및 인접 조직의 보호 기능을 회복시켜 자연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임상 적용을 시행하는 치의학의 근간을 이루는 교실이라고 할 수 있다. 치과보존학교실의 두 핵심 분야는 보존수복학과 근관치료학으로 최종 목적인 자연 치아의 보존을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치료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분야이다.
연구분야
  • 심미 수복학 연구실
    치아 우식, 파절, 형태 이상 등이 발생한 치아 부위에 치아색조의 재료를 이용하여 수복하여 심미성을 회복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심미수복재와 치과용 접착재의 임상적 응용과 시술에 관련된 연구를 시행하고있다.
  • 근관내 미생물 연구 및 근관충전재의 개발, 생체적합성 연구
    근관내 세균을 첨단 기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여 동태를 연구할 뿐 아니라 근관충전시 생체적합성이 좋은 근관봉함제를 개발하여 임상시술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
  • 치수-상아질 복합체 재생 연구실
    수복물의 내구성에 대한 물리, 화학적 연구와 치수-상아질 복합체의 재생 촉진세포 및 물질을 치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수행하고 있다.
  • 치아접착계면 연구실
    폴리머를 소재로 사용하는 심미수복재료인 복합레진과 치과용 접착제의 치아에 대한 접착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특히 계면의 전자현미경적 관찰과 생체 역학적 해석을 통해 접착에 관련된 요소들을 평가하고 접착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근관치료 재료 및 기기 연구실
    근관치료의 충전과정에 사용되는 gutta percha의 물성에 관한 연구와 열가압기구 Duo-alpha 및 열가소성 gutta percha 주입기구 Duo-beta의 개발 및 임상 적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치과용 복합재료 및 생역학과 계측 및 자동화 연구실
    심미수복재료인 복합레진으로 수복 시 일어날 수 있는 생역학적 현상을 측정하여 보다 나은 임상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수복재료 개발과 임상술식을 연구한다. 치과용 복합레진의 광중합 시, 선형 및 체적 중합수축률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 복합레진의 점탄성에 관한 유변학적 연구와 Rheometer 등 여러 실험 장치들을 설계 제작하고 있다.
  • 치수 및 치근단 감염, 면역 연구실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론에 관련된 immune cytokine의 역할 규명과 근관치료의 실패 원인 세균의 면역 억제인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