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Research Interests
구강암 발병관련 주요 분자표적 및 기전 규명을 통한 신개념 구강암 예방 및 치료전략 개발
(1) 구강암 전이와 세포사멸관련 분자표적 발굴 및 분자기작 규명, 그리고 천연물유래 구강암 억제물질 발굴
(2) 구강암 발생에서의 종양유발단백질의 후성유전적 변이의 역할 및 기능 규명
(3) Long noncoding RNA(LncRNA) array를 통한 구강암 발생관련 LncRNA 확인 및 표적후보물질 발굴
Research Methodology
1. Genomics와 Proteomics를 이용한 구강암 전이관련 분자표적 및 천연물유래 전이억제 물질 발굴
1) 구강암 임상샘플에서 Human Metastasis RNA sequencing과 Protein array을 이용하여 전이관련 표적유전자/단백질 후보군 발굴 (Primary tumor vs. Secondary tumor)
2) 과발현 벡터 및 shRNA 제작을 통한 구강암에서의 표적유전자의 전이관련 기능적 연구
3)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표적유전자 후보군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발굴
4) Adhesi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Epithelial-mesenchymal Transfer (EMT)과 표적유전자와의 관련성 및 분자기작 규명
4) 암전이 모델동물과 표적유전자 inducible knock-out 마우스 제작을 통한 기능적 연구
5) 암전이에서 대식세포의 새로운 역할 규명
6) 표적유전자를 조절하는 천연물 유래의 암전이 억제 물질 발굴 (특허출원 및 기술이전)
2. Long non-coding RNA (Lnc RNA)를 이용한 구강암 조기진단 마커 및 치료법 개발
1) Human LncProfiler qPCR array를 이용하여 in vitro, in vivo에서 정상구강점막과 구강암조직에서 구강암 특이적 LncRNA 발굴
2) 구강암 임상샘플에서 발굴된 LncRNA의 발현패턴 분석을 통한 임상과의 연관성 검증
3) In vitro, in vivo에서 발굴된 LncRNA과발현 및 shRNA 벡터를 이용한 발굴된 LncRNA와 규명된 발암단백질의 후성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성 검증
4) 지원자의 연구에서 현재까지 발굴된 구강암관련 종양유발 및 암억제 단백질과 LncRNA와의 상관성 및 분자기작 규명
5) 발굴된 LncRNA를 조절하는 천연물유래 물질 발굴을 통한 항암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 제시
Publication / Patent
Lee JH, Lee JH, Lee SH, Do SI, Cho SD, Forslund O, Inn KS, Lee JS, Deng FM, Melamed J, Jung JU, Jeong JH. TPL2 Is an oncogenic driver in keratocanth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Cancer Res. 2016 Aug 8. pii: canres.3274.2015. [Epub ahead of print]
Shin JA, Kim LH, Lee SJ, Jeong JH, Jung JY, Lee HN, Hong IS, Cho SD. Targeting ERK1/2-bim signaling cascades by BH3-mimetic ABT-737 as an alternative therapeutic strategy for oral cancer. Oncotarget. 2015 Nov 3;6(34):35667-83.
Lee HE, Nam JS, Shin JA, Hong IS, Yang IH, You MJ, Cho SD. Convallaria keiskei as a novel therapeutic alternative for salivary gland cancer treatment by targeting myeloid cell leukemia-1. Head Neck. 2016 Apr;38 Suppl 1:E761-70.
Yu HJ, Jung JY, Jeong JH, Lee JS, Cho SD. Induction of apoptosis by parthenolide in human oral cancer cell lines and tumor xenografts. Oral Oncol. 2015 Jun;51(6):602-9.
Choi ES, Nam JS, Jung JY, Cho NP, Cho SD. Modulation of specificity protein 1 by mithramycin A a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for cervical cancer. Sci Rep. 2014 Nov 24;4:7162.
Lee HE, Choi ES, Jung JY, You MJ, Kim LH, Cho SD. Inhibition of specificity protein 1 by dibenzylideneacetone, a curcumin analogue, induces apoptosis in mucoepidermoid carcinomas and tumor xenografts through Bim and truncated Bid. Oral Oncol. 2014 Mar;50(3):189-95.
Shin JA, Jung JY, Ryu MH, Safe S, Cho SD. Mithramycin A inhibits myeloid cell leukemia-1 to induce apoptosi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tumor xenograft through activation of Bax and oligomerization. Mol Pharmacol. 2013 Jan;83(1):33-41.
Choi ES, Jung JY, Lee JS, Park JH, Cho NP, Cho SD. Myeloid cell leukemia-1 is a key molecular target for mithramycin A-induced apoptosis in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s and a tumor xenograft animal model. Cancer Lett. 2013 Jan 1;328(1):6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