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영 Jin-Young Choi   교수 / D.D.S., M.D., Ph.D.
img
· Major : 턱얼굴미용외과, 구순구개열, 수면무호흡, 선수술 턱교정수술
· E-mail : jinychoi@snu.ac.kr
· Tel : 02-2072-3992
· Laboratory : 구강악안면외과학연구실
Current Research Interests

1. 양악 전진술을 통한 수면무호흡치료
수면 무호흡환자의 양악전진술을 통한 치료연구에 있어서 우리나라 수면무호흡증환자에서 그동안 서양인 수면 무호흡환자기준으로 치료법으로 제시된 상악 및 하악을 10mm 내외로 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턱이 너무나와 안면 추형을 보이게되는 단점을 보완하기위하여 양악전진술을 변형하여 상기도는 충분히 연장하면서 외모의 악화가 일어나지않도록하는 수술법을 적용하여 수면무호흡의 치료와 더불어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CFD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를 이용하여 상하악 전진술의 양과뱡향을 달리 했을 경우를 가상하여 CFD 분석을 통한 수면 무호흡의 개선 정도를 평가함으로서 수면 무호흡환자에게 환자의 외모의 악화없이 수면무호흡의 치료효과을 최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함

2. 선수술 턱교정 수술
얼굴미용수술을 위해서는 얼굴을 미적 개념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contents and frame 개념을 이용한 aesthetic facial unit 이론을 적용하여 얼굴미용환자의 분석 및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턱교정 수술의 미용수술로서의 효과를 aesthetic facial unit 개념으로 평가하여 발표하였으며 향후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미용외과 술식의 개발과 보급에 역점을 두고 있다

3. 턱얼굴미용외과
얼굴미용수술을 위해서는 얼굴을 미적 개념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contents and frame 개념을 이용한 aesthetic facial unit 이론을 적용하여 얼굴미용환자의 분석 및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턱교정 수술의 미용수술로서의 효과를 aesthetic facial unit 개념으로 평가하여 발표하였으며 향후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미용외과 술식의 개발과 보급에 역점을 두고 있다.

4. 구순구개열 수술
성장기 구순구개열환자의 중안모 열성장을 조기 차단 및 예방하기위한 Skeletal anchored miniplate 를 이용한 안면 마스크 치료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있다. 지금까지 100 여명의 환자에 적용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에 턱교정수술의 필요성을 현저히 줄이고 있슴이 확인 되었다. 향후 이러한 환자에서 plate loosening 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 및 줄이기위하여 적용대상환자의 비침습적 골질의 평가를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Publication / Patent
Ahn, HW/Cho, IS/Cho, KC/Choi, JY/Chung, JW/Baek, SH. Surgical treatment modality for facial esthetics in a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 with protrusive upper Hp and acute nasolabial angle. ANGLE ORTHODONTIST. MAR, 2013, 83 2, p355-p363, 9p; Ryu, YJ / Cho, TJ / Lee, DS / Choi, JY / Cho, J Phenotypic characterization and in vivo localiz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OLECULES AND CELLS. JUN, 2013, 35 6, p557-p564, 8p; Kim M1, Kim HS, Kim YH, Choi JS, Yang HJ, Hwang SJ, Kim MJ, Lee JH, Choi JY, Han KS. Comparison of whole blood collection and double-unit erythrocytapheresis in preoperative autologous blood donation. Mol Cells. 2013 Jun;35(6):557-64; Jeon HM, Choi JY, Baek SH. Soft Tissue Changes After Posterior Impaction and Setback of the Maxilla With Le Fort I Osteotom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J cranio maxillofacial Surgery 42:661-667(2014; Kim T1, Baek SH2, Choi JY3. Reduction malarplasty according to esthetic facial unit analys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23 cases. J Craniofac Surg. 2014 Jul;25(4):1495-500; Park HM1, Lee YK, Choi JY, Baek SH. Maxillary incisor inclination of skeletal Class III patients treated with extraction of the upper first premolars and two-jaw surgery: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vs surgery-first approach. J Oral Maxillofac Surg. 2014 Aug; 72(8):1565-78; Suh YJ1, Bae HS, Choi JY, Lee JH, Kim MJ, Kim S, Ryoo HM, Baek SH. A novel FGFR2 mutation in tyrosine kinase II domain, L617F, in Crouzon syndrome. Craniofac Surg 2014 Sep;25(5):1752-6; Min BK1, Choi JY, Baek SH. Comparison of Treatment Duration between Conventional Three-Stage Method and Surgery-First Approach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gle Orthod. 85(4) 625-630 2015 Jul; Jeong-Min Ko / Jin-Young Choi / Seung-Hak Baek. Evaluation of Lip Cant Change by 2-Jaw Surgery in Class III Asymmetry Cases Using Three-Dimensional Facial Scan in Conjunction With Computed Tomographic Images. Journal of Craniofacial Surgery; Jun2015, Vol. 26 Issue 4, pe283-e288, 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