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가장 흔하지만 조절하기 힘들며 삶의 질의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특히, 병적통증은 그 지속성이 매우 길며 정상 통증과는 세포생체 신호 및 발생기전이 다른 통증정보 회로망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조직 및 신경손상에 의한 병적통증이 유발되기 전 또는 유발 이후 통증제어를 할 수 있다면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 사회경제적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는 최선의 방법임.
이에 본 연구실에서는 현재까지 7 년 여 동안의 독자적으로 축적된 통증 연구관련의 기술적 우위와 이를 통하여 얻어진 기초 자료들을 바탕으로 통증 생체신호처리 조절기전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들 확보된 결과를 바탕으로 통증 특이적 기전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획기적인 진통제와 제어기술개발에 이용하고자 함.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활발한 연구 및 학술교류가 필수적이며 국제협력기관과의 방문연구가 요구되고, 이를 통한 공동연구 기반 확립을 바탕으로 통증관련 국제적 연구실로 발전할 수 있음. 따라서 국제 공동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실의 연구원 (참여교수, 박사후 연구원, 대학원생)들이 상대국 연구기관과의 (미국Harvard Medical School의 Clifford Woolf 와 Bruce Bean, 영국 University of Manchester
의 Alan North , 일본 Osaka University 의 Youngnam Kang 등) 국제 통증 컨소시움을 형성하여 운영함으로써, 연구의 활성화 및 긴밀한 유대관계를 지속하고자 함.
● TRP channel ligand 탐색을 통한 신규 통증제어 기술 개발:
통증신경에 존재하는 TRP channel들이 통증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TRP channel을 제어하는 ligand 개발이 필요
● 통증 전달 신경섬유를 타겟으로 하는 통증제어 연구:
통증 세포에 발현된 이온통로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여 통증을 제어하는 방법 개발
● 통증 수용체 조절 물질 발굴 및 기전 연구:
천연물 중에서 통증 수용체에 작용하는 물질을 탐색
● 척수 통증 전달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신경교세포의 역할 규명:
말초신경손상으로 활성화된 신경교세포의 특성변화와 신경교세포 활성화에 의한 신경세포의 시냅스 활성기전 규명
● 척수 신경교세포의 특성 연구:
Microglia의 전기생리학적 특성과 microglia에 발현된 ATP 수용체, TRP channel 등의 channel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