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악안면해부 및 영상과학 Head & Neck Anatomy and Imaging Science
교실소개
현대 의학에서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와 이에 연관된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구조적 분석과 수학적 해석을 통해 제어 가능한 실물 또는 가상의 구체적 모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밀하고 효과적인 계측이 필요하며 본 융합전공에서는 생체조직의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수리적, 공간적 계측방법을 제안하고 시행하여 결과물 생성 및 database 구축을 1차 목표로 한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생물통계학, 기계공학 및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생체를 구성하는 조직 및 기관의 탐구를 실시하고 생체 상실부위의 구조 및 기능 재생에 대한 연구로 확장시켜 기초와 임상 연구를 연계한다. 또한 생체의 구조와 기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실험 모델을 제작하여 기초 연구 및 임상 진료에 응용하도록 한다.
주 연구 대상은 치아, 악골 및 연조직을 포괄하는 전체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구조이며 여기서 얻어지는 지식을 바탕으로 인체의 연관된 다른 부위도 함께 연구한다. 또한 치과 영역에서 사용하는 각종 진단영상의 특징을 이해하고 진단영상을 이용한 두경부 영역 질환의 진단, 진단영상을 활용한 생체의 분석, 방사선에 의한 생체효과 등을 이해한다.
그 외에도 진단영상의 디지털화에 따른 디지털 방사선촬영술의 이해, 디지털 방사선영상의 특성, 디지털 방사선영상의 표준 형식에 대한 이해와 디지털진단 영상을 이용한 개인특성별 표준화 연구 및 영상정보학과 관련된 연구를 시행한다. 3차원 영상에 대해서도 학습하고 치과 영역에서 3차원 영상의 활용방안과 안면복원 등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한다.
이와 더불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조들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신경계 손상 후 신경재생에 관여하는 기전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신경세포와 신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의 분자 및 세포학적인 구조를 파악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된 기능의 복잡한 관계를 연구하고, 성체줄기세포 등을 이용하여 손상된 신경을 재생하는데 필수적인 분자세포생물학적인 기작을 연구함으로써 구강악안면 및 중추신경계 손상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법 개발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