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생체재료과학 교실 Dental Biornaterials Science
교실소개
본 교실에서는 치과용 재료 및 기기 분야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치과수복용 심미수복용 재료, 임프란트용 재료, 치과교정용 재료, 조직재생용 생체재료 등 신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와 치과용 재료의 생체적합성과 독성시험에 관한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임상치의학연구소의 치과재료 평가센터의 실무를 담당하여 상용중인 치과용 재료의 물성과 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있다.
연구분야
- 치과생체재료의 물성 평가: 기계적 특성 (강도, 경도, 마찰력, 마찰계수, 마모), 물리적 특성 (중합수축, 표면장력, 표면에너지, 색상, 투명도), 열, 전기적 특성 (열팽창, 열분석, 갈바니 전류), 화학적 특성 (변색, 전기화학적 부식, 성분유출)
- 치과생체재료 개발: 치과용 귀금속계 (저금계 및 은-팔라듐계) 합금, 치과용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광중합형), 치과용 글라스-세라믹 (주조형), 치과용 결합제 (법랑질/교정용 결합제), 치과용 나노 컴포짓트 레진 (수복용), 치과용 알지네이트, 치과용 임시수복재 등
- 치의학 분야의 색상 훈련
- 조직재생용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생분해성 고분자/Organo-Siloxane 나노복합형 소재, 생분해성 고분자/세라믹 나노섬유형 하이브리드 소재
- 자기조직화 기법을 이용한 생체모방형 나노소재 연구

- 자면역반응이 없는 Xenograft 제조방법 연구
- 치질을 재생할 수 있는 이장재 개발
- 효모 바이오 센서를 이용한 치과용 금속재료의 산화스트레스 평가 및 치과용 고분자 재료의 유전독성, apoptosis, 염증유발 기전 규명
- 펄프세포의 분화에 대한 치과용 생체재료의 영향
- 치과용 생체재료의 항균성/항진균성 연구
- 효모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자 소실에 대한 액틴 세포골격의 역할
- 조상아 세포의 분화에 관한 연구, 치과용 임플란트의 세포반응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