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생리학 교실 Oral Physiology
교실소개
구강생리학교실은 치과대학/ 치의학 전문대학원생들로 하여금 강의 및 실습을 통해 기본적인 생명 현상이 일어나는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부터 우리 인체 내 각 장기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정상 기능 및 그 조절 기전을 이해시켜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본 교실에서는 통증을 포함한 악안면 감각 기능, 말초 신경의 재생, 신경 가소성 그리고 타액 외분비 기전에 관한 연구 등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연구분야
- 세부연구 1. 기전 특이적 통증 관련 유전자의 발굴 및 그 생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환자들이 의료 기관을 방문하는 가장 흔한 이유가 통증 때문이지만 임상에서 발견되는 여러 가지 통증들 (예, 치통, 편두통,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만성 통증)은 발생 기전이 서로 상이하므로 현재의 진통제 및 통증 관리법으로는 효율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전특이적 진통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각 통증현상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1) 치통 특이적 인자의 동정을 통한 치통 발생 기전 규명, 2) 말초 면역세포와 중추 신경교세포에 의한 통증 정보 처리 기전, 3) TRP channel등 통증 수용체의 조절 기전, 4) 스트레스에 의한 통증 정보 처리 및 척수 신경 활성 조절 기전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 세부연구 2: 미각 및 타액 외분비 기전에 관한 연구
타액선 기능장애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은 치과 외래 환자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들로서 이를 완화 내지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 및 치료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교실에서는 1. 세포 및 분자수준에서 선포세포에서 일어나는 초기 타액 형성 기전에 관한 연구 2. 도관에서의 타액 성분 변화 및 이때 관여하는 이온채널 및 수송단백질의 역할 3. 구강건조증이나 쇼그렌 증후군 질환에 대한 원인 규명 및 이를 통한 새로운 치료법 및 치료제의 개발. 4. 말초 미각세포에서의 신호 전달 기전 및 미각에 의해 유도된 타액분비 반사시 부교감 신경의 가소성 변화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 세부연구 3: 말초신경손상에 의한 신경교세포 활성화 기전 및 기능 연구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말초신경의 손상은 척수의 신경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이러한 신경교세포의 활성화가 신경손상에 따른 신경병증성 통증의 발생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신경손상 시 말초신경 내의 슈반세포도 활성화되어 이후 말초신경재생에 관여한다. 본 교실에서는 이러한 신경교세포/슈반세포의 활성화기전과 신경병증성 통증 발생 및 신경재생에 있어서의 기능을 분자세포생물학적 기법으로 연구하고 있다.